건강 정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5-02-05 10:30
조회
8

KAIST "암 발생 임계전이 상태 포착해 가역화 스위치 발견"




대장암 세포의 가역화 효과 모식도

대장암 세포의 가역화 효과 모식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화하는 순간의 '임계전이'(臨界轉移, critical transition) 현상을 포착해 암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스위치를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암세포를 사멸시켜 치료하는 현행 항암치료 방식은 내성으로 인해 암이 재발하거나 정상세포까지 죽이는 등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디지털트윈(가상모형)을 통해 암의 악성을 억제하고 정상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되돌려 부작용 없이 치료할 수 있는 가역 치료의 이론적 가설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 발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임계전이 순간에 주목해 정상세포와 암세포가 불안정하게 공존하는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암 가역화 분자 스위치 발굴 기술 개념도

암 가역화 분자 스위치 발굴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임계전이는 물이 100도에서 갑자기 기화되는 것처럼 시스템이 특정 임계점을 넘어서며 급격한 상태 변화를 보이는 현상이다. 임계전이를 겪은 후에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지 못하며, 임계점에 가까워질수록 기존 상태와 새로운 상태가 공존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연구팀은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해 정상세포의 임계전이를 관장하는 핵심 유전자 네트워크를 추론, 시스템생물학 연구 방법을 통해 암세포를 정상세포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스위치를 발굴했다.

시스템생물학은 정보기술(IT)의 수학 모델링,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생명공학 기술(BT)의 분자세포생물학 실험을 융합해 접근하는 연구 방법이다. 디지털트윈 모델을 이용해 전통적인 실험 방식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생명현상을 탐구할 수 있다.

실제 대장암세포에 기술을 적용, 정상 대장세포의 특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분자세포실험으로 확인했다.

조광현 교수는 "정상세포가 되돌릴 수 없는 암세포 상태로 변화되기 직전의 임계 전이 순간을 포착해 암세포의 운명을 되돌릴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지난달 22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KAIST 조광현 교수 연구팀

KAIST 조광현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59

New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KReporter | 10:30 | 추천 0 | 조회 8
KReporter 10:30 0 8
458

"흉통으로 본 질환 감별…심장 이상 체크가 첫 단추"

KReporter | 2024.10.08 | 추천 0 | 조회 380
KReporter 2024.10.08 0 380
457

"노인 4명중 1명 퇴행성관절염…어떤 치료가 내게 맞을까"

KReporter | 2024.10.08 | 추천 0 | 조회 363
KReporter 2024.10.08 0 363
456

"40대 여성 위협하는 '폐동맥고혈압'…방치 땐 돌연사 위험 커"

KReporter | 2024.08.06 | 추천 0 | 조회 590
KReporter 2024.08.06 0 590
455

조기 발견 중요한 전립선암…주목받는 AI 진단·방사성 치료제

KReporter | 2024.08.06 | 추천 0 | 조회 586
KReporter 2024.08.06 0 586
454

15년 이상 금연하면 암 발생 위험 절반으로 줄어든다

KReporter | 2024.03.12 | 추천 0 | 조회 357
KReporter 2024.03.12 0 357
453

"수전증, 치매와 연관 있을 수도"

KReporter | 2024.03.08 | 추천 0 | 조회 420
KReporter 2024.03.08 0 420
452

"위장 헬리코박터 감염, 대장암과 연관 있다"

KReporter | 2024.03.08 | 추천 0 | 조회 419
KReporter 2024.03.08 0 419
451

"체내 미세 플라스틱 있으면 뇌졸중·심장병 위험 4배 이상"

KReporter | 2024.03.07 | 추천 0 | 조회 335
KReporter 2024.03.07 0 335
450

"건강관리·돌봄에 뜨는 '스마트링'…삼성·애플도 큰 관심"

KReporter | 2024.03.07 | 추천 0 | 조회 301
KReporter 2024.03.07 0 301
449

"환경오염물질의 습격…엄마표 이유식에도 납·수은이"

KReporter | 2024.03.06 | 추천 0 | 조회 267
KReporter 2024.03.06 0 267
448

법적 제약 없어진 태아 성감별…시험관아기는?

KReporter | 2024.03.06 | 추천 0 | 조회 293
KReporter 2024.03.06 0 293
447

"다발성 경화증 환자 비만하면 진행 빠르다"

KReporter | 2024.03.05 | 추천 0 | 조회 230
KReporter 2024.03.05 0 230
446

"세 살 비만 평생 간다…부모가 함께 개선 노력해야"

KReporter | 2024.03.05 | 추천 0 | 조회 215
KReporter 2024.03.05 0 215
445

WHO "전 세계 비만 인구 10억명…1990년 후 2배로"

KReporter | 2024.03.01 | 추천 0 | 조회 203
KReporter 2024.03.01 0 203
444

"초가공식품, 심장병·당뇨·조기사망 등 건강에 32가지 악영향"

KReporter | 2024.03.01 | 추천 0 | 조회 203
KReporter 2024.03.01 0 203
443

"비만 수술, 의료·생활습관 교정보다 당뇨병 치료 효과 좋아"

KReporter | 2024.02.28 | 추천 0 | 조회 295
KReporter 2024.02.28 0 295
442

"췌장 지방 과다, 뇌 건강과 관계있다"

KReporter | 2024.02.28 | 추천 0 | 조회 265
KReporter 2024.02.28 0 265
441

"알레르기 천식 치료제, 식품 알레르기 치료에도 효과"

KReporter | 2024.02.27 | 추천 0 | 조회 249
KReporter 2024.02.27 0 249
440

"과민성 대장 증후군, 생활 습관과 관계있다"

KReporter | 2024.02.27 | 추천 0 | 조회 229
KReporter 2024.02.27 0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