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우주에도 '위험 외주화'가…웃픈 복제인간 영화 '미키 17'
봉준호표 블랙코미디 여전…노동·과학 윤리 문제 유머러스하게 풀어
패틴슨 1인 2역 연기 눈길…러팔로 독재자 캐릭터, 트럼프 연상

영화 '미키 17' 속 한 장면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헤이, 미키. 죽는 건 어떤 기분이야?"
크레바스에 빠져 옴짝달싹 못 하는 미키(로버트 패틴슨 분)를 친구 티모(스티븐 연)가 내려다보며 말한다.
낄낄거리며 끔찍한 질문을 내뱉는 그의 얼굴에 침이라도 뱉고 싶을 것 같지만 미키는 대수롭지 않다는 듯 그에게 작별 인사를 건넨다.
미키가 티모의 말에 상처받지도, 자기 대신 화염방사기를 '구출'한 그를 원망하지도 않는 이유는 미키가 익스펜더블(Expendable·소모품)이기 때문이다. 위험한 임무나 생체 실험에 투입됐다가 죽으면 복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 또 일터로 나가는 게 그의 직업이다.
"잘∼죽고 내일 봐."
17일 한국 시사회에서 베일을 벗은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은 봉준호식 블랙코미디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봉 감독이 처음으로 도전한 우주 배경의 SF 장르에다 그가 연출한 영화 중 최다 제작비(약 1억1천800만달러 추산)가 들어간 대작이지만, 비극을 희극처럼 풀어내는 솜씨는 여전히 빛난다.

영화 '미키 17' 속 한 장면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봉 감독은 그간 '설국열차'(2013), '기생충'(2019) 등을 통해 자본주의의 병폐와 계급 문제를 꾸준히 풍자해 왔다.
'미키 17'이 그리는 2054년의 사회는 두 작품보다 암울하다. 권력자들은 고도로 발달한 첨단 기술을 이용해 익스펜더블을 끊임없이 찍어낸다. 얼마든지 대체할 수 있는 이들을, 비슷한 처지의 노동자들마저 무시한다. 미키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어떤 고통을 느끼는지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도 물론 없다.
미키가 익스펜더블을 자처하게 된 과정과 어떤 업무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영화의 전반부에 몰려 있다.
그는 지구에서 티모와 함께 마카롱 가게를 열었다가 실패해 사채업자에게 시달리는 신세였다. 어차피 돈을 갚지 못하면 사채업자에게 살해당할 게 뻔할 터. 전직 국회의원 마셜(마크 러팔로)이 추진하는 얼음 행성 '니플하임' 개척단에 지원해 지구 밖으로 도망치려 하지만, 별다른 기술이 없는 그로서는 몸으로 때우는 익스펜더블 말고는 대안이 없다. 결국 신체정보와 기억을 스캔해둔 뒤 죽으면 프린터 같은 기계에서 새롭게 태어나기로 한다.
애처로운 그의 얼굴에선 우리 시대 청년의 모습이 겹쳐 보인다. 특히 '위험의 외주화'가 사회 문제로 지적돼온 한국의 관객들에게 위태로운 작업 현장으로 향하는 그의 발걸음은 낯설지 않을 듯하다.

영화 '미키 17' 속 한 장면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열일곱번째 미키가 크레바스에서 숨을 거뒀다고 착각한 이들이 열여덟번째 미키를 프린트한 이후 이야기는 또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미키 17과 미키 18 모두 실존을 주장하며 서로 죽지 않겠다고 싸우면서다.
이 세계에선 익스펜더블은 허용하지만, 익스펜더블 여러 명이 있는 '멀티플'은 금지된다. 따라서 미키 17과 미키 18 중 누구 한 명은 반드시 죽어야 한다.
이전의 내가 죽은 뒤에야 다음의 내가 탄생했던 지금까지와는 달리, 내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에 맞닥뜨린 미키는 혼란스럽기만 하다. 고통을 견디며 일하고 여자친구 나샤(나오미 애키)와 사랑에 빠지기도 했던 건 진짜 미키일까 아니면 수많은 미키 중 하나일 뿐일까. 봉 감독은 복제 인간이 아주 먼 이야기가 아닌 지금 세대의 관객에게 묻는다.
크리퍼들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후반부에선 '옥자'(2017)가 떠오른다. 인간에게 다른 생명체의 삶을 박탈하고 터전을 빼앗을 권리가 있는지 다시 한번 곱씹게 된다.

영화 '미키 17' 속 한 장면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울한 스토리지만 봉 감독 특유의 유머 덕에 피식피식 웃음이 새어 나온다.
가장 눈에 띄는 캐릭터는 마셜과 일파(토니 콜렛) 부부다. 쇼맨십에 능하지만, 모든 결정을 아내에게 미루는 무능한 마셜과 음식 소스에 기괴한 집착을 보이는 일파의 모습은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어딘가에 있을 법한 독재자 부부 같아 무섭기도 하다.
마셜 역은 최근 영국 런던 시사회와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미키 17'이 공개됐을 때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닮았다는 평이 꾸준히 나왔다. 근엄한 표정을 지은 채 검지로 어딘가를 가리키는 마셜과 빨간색 야구 모자를 쓰고 그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보내는 '팬덤'의 조화는 확실히 트럼프를 떠올리게 한다.
패틴슨의 1인 2역 연기를 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다. 운명에 순응하는 소심한 미키 17과 시스템을 부수려는 과감한 미키 18을 모두 훌륭하게 표현했다. 말투뿐만 아니라 목소리까지 달라 별다른 어려움 없이 미키 17과 미키 18을 구별할 수 있다.
'옥자', '퍼니 게임', '아무르' 등에 참여한 다리우스 콘지의 역동적인 촬영과 '기생충'에 이어 다시 한번 봉 감독과 협업한 정재일의 음악은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차갑고 황량한 미장센으로 디스토피아 분위기를 극대화한 미술도 볼거리다.

영화 '미키 17' 속 한 장면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봉 감독의 전작과 비교하면 아쉬운 점도 많다.
'설국열차'가 그랬듯 이번 작품도 은유가 다소 직접적이고 과장된 측면이 있다. 여러 가지 메시지가 섞여 있다 보니 시선이 분산되기도 한다.
초반부 40분까지 이렇다 할 큰 사건이 없고 내레이션과 플래시백을 통해 과거를 설명해주는 식으로 전개되다 보니 힘이 빠지는 데다, 이후에도 서사의 '롤러코스터'가 느껴지지 않는다.
일반적인 SF물을 기대하고 극장을 찾은 관객이라면 장르물 특유의 스펙터클이나 서스펜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